본문 바로가기
영화를 읽다 🎥

영화 '84제곱미터' 리뷰: 일상 속 아파트 공포를 읽다

by 캉욘 2025. 7. 20.
반응형

영화 '84제곱미터' 포스터
영화 '84제곱미터' 포스터

1. ✍️ 이 영화, 나에겐 이렇게 읽혔다

‘84제곱미터(Wall to Wall)’는 내 집 마련의 꿈이 한순간에 악몽으로 변하는 과정을 현실적인 스릴러로 조명한 작품입니다. 제가 가장 인상 깊게 본 장면은 강하늘 연기한 우성이 새벽에 현관문 앞에서 인기척에 놀라는 순간이었습니다. 섬뜩하면서도 현실적인 긴장감은 마치 ‘내 앞집일 수도 있다’는 섬뜩한 공포를 일깨웠습니다. 이 영화는 허구보다 실제 현실의 불안과 주거 문제를 기반으로 한 공포를 주제로 삼아, 스릴러적 요소에 삶의 무게를 얹은 방식이 인상 깊었습니다. ‘영끌족’의 삶과 사회적 불안, 층간 소음에 시달리는 현대인의 초상을 그려, 개인적 공포와 사회적 모순이 어떻게 맞닿는지를 섬세하게 보여주었습니다.

2. 🎬 어떤 이야기였는지 잠깐 살펴보자

‘84제곱미터’는 김태준 감독이 연출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심리 스릴러 영화입니다. 주연으로는 강하늘(우성), 염혜란(은화 입주민 대표), 서현우(진호 위층 이웃)가 출연하며, 2025년 7월 18일 전 세계 동시 공개되었습니다. 영화 배경은 25평형 국민평형 아파트이며, 영끌 대출로 힘겹게 마련한 내 집에서 정체 모를 층간소음이 시작됩니다. 우성은 낮에는 야근과 아르바이트, 밤에는 소음과 주민들의 시선 속에서 무너져 가고, 은화·진호와 얽히며 각자 다른 욕망과 비밀이 드러납니다. 부실시공, 층간소음, 이웃 간 갈등, 아파트 재건축 비리까지 겹쳐지며 사회 구조적 공포와 개인의 절박한 심리가 팽팽하게 맞섭니다.

3. 🧑‍🤝‍🧑 이 캐릭터가 나에게 남긴 감정

우성은 내 집 마련의 기쁨이 한순간에 무너지는 현실의 아이콘처럼 보였습니다. 그는 ‘영끌’이라는 한국 청년 세대의 고충을 몸소 겪는 인물로서, 고지 아래로 내려가지 않기 위해 사력을 다함에도 불구하고 끝내 무너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은화는 입주민 대표로, 바쁜 공사와 재건축에 얽힌 현실적 이익을 챙기며 동시에 냉정한 집단 심리를 대표하는 인물로 느껴졌습니다. 진호는 겉보기엔 도와주는 이웃 같지만 사실상 이웃 간 감시와 통제의 상징처럼 다가왔습니다. 이 세 인물은 각기 다른 욕망과 고통, 무기력 속에서 갈등하며, 서로를 의심하고 상처 주는 현대인의 초상을 표상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들의 얽힌 관계는 아파트라는 밀폐 공간이 어떻게 인간 본성과 심리를 틀어지게 만드는지를 강렬하게 보여주었습니다.

4. 🎟️ 사람들은 이렇게 말하지만, 나는 다르게 봤다

많은 리뷰는 ‘84제곱미터’를 층간소음 스릴러, 영끌족 공포물로 분류하며 현실적 공포를 실감나게 담아냈다는 평가를 했습니다. 특히 강하늘·염혜란·서현우의 연기와 폐쇄된 공간이 주는 긴장감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일부 평론에서는 중반부 이후 개연성 부족과 과장된 전개를 지적하며 현실성과 장르적 맛이 다소 떨어진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저는 이 작품이 중반부 스릴러 전개에서 다소 과장된 면이 있다고 동의하지만, 그 과장 덕분에 한국 사회의 구조적 부조리와 주거 문제의 심각성이 보다 명확해졌다고 봤습니다. 현실과 허구의 경계가 흐려지는 순간이야말로 이 영화가 말하고자 했던 바, 저에게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로 읽혔습니다.

5. 💭 이 영화가 나에게 남긴 문장 한 줄

“내 집 담벼락이 당신을 가두는 감옥이 되기도 합니다.”

‘84제곱미터’는 단순히 공포 스릴러가 아닌, 현대인의 주거 불안과 사회적 현실 비판을 섬광처럼 비춘 작품이었습니다. 영화 속 아파트는 단순한 집이 아니라 빚과 불안, 감시와 권력의 공간이었으며, 그 안에서 싸울 수밖에 없는 개인의 절박함을 드러냈습니다. 이 작품은 극적 긴장감과 한국 사회의 주거 문제를 결합하여 한 편의 사회적 경고문 같은 영화로서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록 엔딩이 열린 결말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것이야말로 우리 모두가 이어갈 숙제와 질문이라는 점에서 여운이 오래도록 남습니다.